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2026 연말정산부터 바뀌는 공제 항목과 직장인을 위한 절세 꿀팁을 정리했습니다. 빠르게 전략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1. 신용카드 vs 체크카드, 어떤 게 유리할까?

    공제율이 다르므로 하반기엔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 중심 소비가 유리합니다.

     

    결제 수단 공제율
    신용카드 15%
    체크카드/현금영수증 30%
    전통시장/대중교통 40%

     

    2. 연금저축·IRP 활용은 필수

    세액공제 한도: 연 700만 원 (연금저축 400 + IRP 300)
    공제율: 16.5% 또는 13.2%
    → 최대 115만 원 환급 가능

     

    3. 기부금은 연말에 몰아서 하지 말자

    기부 유형에 따라 공제율 다름. 연중 분산 기부 & 영수증 필수!

     

    4. 의료비는 꼭 지출자 기준 확인

    • 배우자/자녀 의료비는 본인 카드로 결제 시 공제 가능
    • 2026년부터 산후조리원/6세 이하 자녀 의료비 확대

     

    5. 월세 공제는 놓치지 말자

    •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직장인 대상
    • 최대 750만 원 한도, 10~12% 공제
    • 계약서 및 이체 내역 증빙 필수

     

    6. 국세청 미리보기 꼭 활용하기

    12월부터 홈택스에서 제공되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
    공제 조정 시뮬레이션 및 누락 방지가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7. ★★ 절세 요약

     

     

    구분 주요 변경/확대 내용 세부 내용
    결혼세액공제 신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혼인 신고를 한 부부(생애 1회)에게
    부부 각각 50만 원, 최대 100만 원 세액공제
    출산·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 근로자 본인 또는 배우자의 출산, 6세 이하 자녀 보육 관련
    비과세 한도 월 10만 원 → 월 20만 원
    기업 출산지원금 기업이 지급하는 출산지원금 (출생 후 2년 이내 최대 2회) 전액 비과세
    자녀 세액공제 확대 자녀 2명인 경우 공제액 30만 원 → 35만 원으로 증가
      셋째 자녀부터는 1인당 연 30만 원 추가 공제
    공제 대상에 손자녀 포함
    의료비 세액공제 강화 (자녀 의료비) 만 6세 이하 자녀의 의료비 공제 한도 없이 전액 세액공제
    강화 (산후조리원) 소득 기준 없이 모든 근로자 대상, 출산 1회당 200만 원 한도로 공제
    대학생 자녀 교육비 소득요건 폐지 자녀의 연간 소득금액 100만 원 초과하더라도 교육비 공제 가능

     

    8. 마무리

    2026 연말정산은 전략이 핵심입니다. 미리 준비하고 공제 항목을 체크하면
    수십만 원의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계획적으로 시작하세요!